뉴스

  • 전체 3557 |
  •  페이지 1/356
손혜주·이민영·이상헌 교수, BRIC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선정

2025.04.24

1,302

뉴아이콘

의료 인공지능, 청각 재생의학, 대사체-유전체 연관 분석 분야서 세계적 연구성과 인정 의과대학 손혜주 교수(핵의학과) 연구팀, 이민영 교수(이비인후과) 연구팀. 이상현(바이오소재융합공학과)교수팀이 세계적 권위의 학술성과를 인정받으며 포스텍 생물학연구정보센터(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이하 BRIC)가 주관하는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에 나란히 선정됐다. 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은 세계적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학술지 가운데 논문피인용지수(IF : impact factor)가 10 이상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해 연구 성과를 거둔 한국인 과학자들을 선정해 소개하는 프로그램으로 국내 연구자의 국제적 연구 역량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평가된다. ■ 손혜주 교수 연구팀, AI 기반 뼈 스캔 진단 정확도 향상 △ 손혜주 교수 손 교수는 한림대학교 공동연구팀과 함께 최신 AI 모델인 ‘ConvNeXt’를 활용해 뼈 스캔(Bone Scan) 영상의 진단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연구를 진행했다. 뼈 스캔은 전립선암, 유방암 등 뼈로의 전이가 자주 발생하는 암 환자들에게 필수적인 검사로 CT나 MRI에 비해 비용이 낮고 신속하게 전신의 뼈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연구팀은 총 6,175명의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성곱신경망 모델(ResNet, 딥러닝 알고리즘), 트랜스포머 모델(인공신경망), ConvNeXt 모델의 진단 성능을 비교 분석했으며, ConvNeXt 모델은 민감도 79%, 특이도 100%를 기록해 기존 모델 대비 월등한 성능을 보였다. △ ConvNeXt 모델이 기존 모델 대비 실제 암 병변 부위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하였다. 해당 연구는 핵의학 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Clinical Nuclear Medicine」(2023년 JIF 10.0, 영상의학 분야 상위 1.9%)에 게재되었으며 논문명은 ‘Comparison of CNNs and Transformer Models in Diagnosing Bone Metastases in Bone Scans Using Grad-CAM (뼈 스캔 영상에서 Grad-CAM 기반 골전이 진단을 위한 CNN 및 트랜스포머 모델 비교 연구)’이다. ■ 이민영 교수 연구팀, 소리 감지세포 만드는 신기술 개발… 난청 치료에 새 희망 제시 △ 이민영 교수, 문세영 교수 이민영 교수 연구팀은 귀 안에서 소리를 듣게 해주는 감각세포인 ‘털세포(Hair Cell)’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털세포’는 귀 속 깊은 곳에 있으며 한번 손상되면 자연적으로 다시 생기지 않아 난청의 주요 원인이 된다. 연구팀은 털세포로 자라날 수 있는 전구세포(분화 전의 세포)만을 모아 사람 몸속 기관을 본뜬 ‘미니 장기’인 ‘내이 오가노이드(ear organoid)’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교수팀은 여기에 태아 시기 귀 발생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Shh(소닉헤지호그)’를 활용해 세포의 성숙을 유도했다 그 결과 실제 귀 속 털세포와 유사한 돌기 구조(stereocilia)가 길게 자라났고, 청각 신호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Lrba, Lmo7, Pls1)와 청신경과의 연결 기능도 향상된 것이 확인됐다. △털세포의 구조적·기능적 성숙을 유도하는 내이 오가노이드 배양법 이번 연구는 문세영 교수(코스메디컬소재학과) 연구팀과의 협업을 통해 단일세포 RNA 시퀀싱 분석까지 이뤄졌으며 털세포 관련 핵심 유전자(Espn, Tmc1, Pou4f3 등)가 활발히 발현된 세포 집단을 규명함으로써 해당 기술이 난청 치료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의생명과학 학술지 「Theranostics」(2025년 12월호, 영향력지수 IF 12.4)에 게재되었으며, 논문 제목은 “Shh agonist enhances maturation in homotypic Lgr5-positive inner ear organoids(Shh 작용제가 동질적인 Lgr5 양성 내이 오가노이드의 성숙 촉진)”이다. ■ 이상헌 교수팀, 대사 물질의 유전체 진단 정확도 높이는 데이터 분석 방법 제시 △이상헌 교수(오른쪽, 프리무스국제대학 바이오소재융합공학과)와 연구원들 이상헌 교수(프리무스국제대학 바이오소재융합공학과)가 하버드 보건대학원,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 브링엄 여성병원(BWH) 등과 함께 우리 몸의 다양한 대사 물질의 유전체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통계적 분석 방법을 제시했다. 이 교수팀은 기존의 대사체-유전체 연관 분석(MGWAS)에서 나타나는 '위양성(false positiv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순위기반 정규화(rank-based normalization)' 기법을 제안했다. 이번 연구는 질병과 연관된 대사 지표와 유전자를 보다 정확히 찾아낼 수 있게 되어 향후 대사체 기반 개인 맞춤형 의료와 헬스케어 분야에서 실질적인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는 세계적인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 2025년 4월 11일자 첫 논문으로 소개됐다. 논문명은 ‘On the analysis of metabolite quantitative trait loci: Impact of different data transformations and study designs(대사체-유전체 연관분석에서 정량적 형질좌위의 위양성에 미치는 대사체의 데이터 변환 방식과 유전체 연구 설계의 영향 평가)’이다. #단국대 #BRIC #한빛사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5,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윤주연

|

학술

“아시아 대학 스포츠 관계자 한자리에” 아시아대학스포츠연맹(AUSF) 세미나 개최

2025.04.23

1,131

뉴아이콘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 성공 개최 위한 국제 협력 기반 마련 지난 17일(목) 부터 20일(일)까지 총 4일간 개최, 13개국 30여 명 참가해 장지석 체육위원회 위원장(스포츠경영학과, 국제처부처장)이 지난 17(목)일부터 20일(일)까지 아시아대학스포츠연맹(Asian University Sports Federation 이하 AUSF) 제1차 집행위원회 회의 및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아시아대학스포츠연맹(AUSF)가 주최하고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 한국지부, 대한대학스포츠위원회, 단국대가 주관했다. 세미나는 대만·일본·싱가포르 등 아시아 13개국에서 온 대학 스포츠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해 대학 스포츠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우리 대학은 아시아 대학 스포츠 관계자 13개국 30여 명이 모여 아시아대학스포츠연맹(AUSF)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우리 대학은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 국제 학술대회를 주관하는 대학으로 학술대회의 기획·운영을 총괄하게 됐다. 이번 아시아대학스포츠연맹(AUSF) 세미나 개최를 통해 우리 대학은 국제 스포츠 네트워크 중심 대학으로 위상을 공고히 했다. 이번 세미나는 ▲AUSF 집행위원회 회의 ▲브랜딩 & 마케팅 전문위원회 세미나 ▲미디어 & 커뮤니케이션 전문위원회 세미나 등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 장지석 체육위원회 위원장은 우리 대학 농구팀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 스포츠 활성화 및 대학 브랜드 제고 전략을 발표했다. 세미나는 ▲강민(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운영지원팀장) 「한국 대학 스포츠 리그(U-리그) 운영 및 클럽 챔피언십 운영 사례를 통한 KUSF의 역할」 ▲장지석 교수 (AUSF 브랜딩&마케팅 전문위원회 공동의장) 「단국대 농구팀 사례를 중심으로 한 지역 스포츠 활성화 및 대학 브랜드 제고 전략」 ▲하웅용 교수(한체대, AUSF 브랜딩&마케팅 전문위원회 공동의장) 「AUSF의 스포츠 콘텐츠 허브 구축을 위한 전략」 ▲HUANG chia-ju(AUSF 회계감사관) 「대만대학농구협회를 통한 동아시아 스포츠 협력 가능성」 ▲Isaac Low(Realeague 공동창업자) 「아시아대학농구리그(AUBL)의 설립 취지 및 운영 모델」 등을 논의했다. ▲장호성 이사장은 아시아대학스포츠연맹(AUSF) 세미나 참석자들을 만나 대학 스포츠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장호성 이사장은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 집행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2022년에는 대한대학스포츠위원회(KUSB) 위원장으로서 2027 충청권 유니버시아드 대회 유치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 장지석 체육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세미나 개최는 우리 대학이 글로벌 스포츠 학문 중심지로 그동안 쌓아온 연구 역량과 학문적 교류를 인정받은 계기”라며 “앞으로 우리 대학은 아시아 대학 스포츠 발전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국제 협력 기반을 본격적으로 다질 것”이라고 밝혔다. #단국대 #아시아대학스포츠연맹 #국제대학스포츠연맹 #충청유니버시아드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5,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가지혜

|

이슈

AI 융합인재 양성 속도 낸다" style="width:400px;height:300px;" />

2025.04.23

1,329

뉴아이콘

교육부 첨단분야 AI(인공지능) 정원 증원 통해 총 42명 선발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AI 융합 핵심인재 양성 우리 대학이 AI시대를 이끌어갈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학부에 인공지능학과를 신설했다. 인공지능학과는 교육부의 2026학년도 첨단분야 정원 증원 등을 통해 설치되었으며 올해 수시와 정시모집에서 총 42명을 선발한다. 인공지능학과는 AI 프로그래밍, 인공지능 수학 등 기초 이론부터 최신 알고리즘, 데이터 처리 및 모델링 등의 심화 이론을 체계적으로 교육한다. 시각 지능(Vision AI), 언어 지능(Language AI) 등 다른 대학 심화전공 수준의 교과목을 전공필수로 운영해 실무능력이 탄탄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한다는 목표다. ▲ 우리 대학은 내년부터 SW융합대학에서 인공지능학과를 신설해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AI 융합 핵심인재를 양성한다. [홍보팀 자료사진] 교육과정은 「인간중심 AI트랙」 및 「피지컬 AI시스템」 등 2개 트랙으로 운영된다. 헬스케어AI 등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인간중심 AI트랙」과 로보틱스, 자율주행, 센서 및 임베디드 시스템 등을 연구하는 「피지컬 AI시스템」으로 체계적인 교육을 시행한다. 기존에 설치된 대학원 인공지능융합학과와 정보융합기술·창업대학원 인공지능공학과와 학·석·박사 통합교육체계를 구축해, SW/AI 분야 산업체 수요기반의 전문 인력을 조기 양성할 수 있는 교육 기반도 마련했다. ▲ 학생들이 천안캠퍼스 바이오헬스플래닛에서 AI·로봇·IoT 기술을 활용한 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외 AI 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교육과정혁신위원회를 구성하고 AI, 빅데이터 등 산업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모델을 구축했다. PBL(Project-Based Learning)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들과 맞춤형 산학연계 시스템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우리나라 ICT 혁신 산업의 거점에 위치한 우리 대학은 AI 인재 양성에 필요한 뛰어난 기반 여건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용인 첨단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판교 테크노벨리 ▶용인 플랫폼시티 ▶광교 테크노벨리 등과 협력해 첨단산업 분야 AI 융합인재 양성 중심 대학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대학의 핵심 융합인재 양성 분야인 반도체, 미래자동차, 디지털 헬스케어 등과도 연계해 지속 가능한 AI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안순철 총장은 “디지털 대전환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산업계 전반에 SW·AI융합인재의 필요성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라며 “대학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IT산업을 키우는 혁신 드라이버 역할로 기대를 모으는 AI 융합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할 것” 이라고 밝혔다. #단국대 #SW융합대학 #인공지능학과 #교육부 #첨단분야 #인공지능 #AI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5,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가지혜

|

이슈

‘한국 임플란트 1세대’ 허영구 동문(네오바이오텍(주) 대표), 강의실 현판식 개최

2025.04.23

1,472

뉴아이콘

우리 대학은 ‘한국 임플란트 1세대’ 허영구 동문(치의학과 82학번, 네오바이오텍(주) 대표)의 강의실 현판식을 22일(화) 천안캠퍼스에서 개최했다. 허 동문의 모교 사랑과 인재양성의 뜻을 후학들이 알 수 있도록 치의학관 302호를 「허영구 강의실」로 지정하고 명판에 새겼다. △ 허영구 동문의 후배사랑을 기리고자 「허영구 강의실」 현판식을 가졌다. [▶왼쪽 안쪽부터 허영구 동문, 김종수 교수, 황복순 네오바이오텍(주) 실장, 김무태 네오바이오텍(주) 부장 ▶오른쪽 안쪽부터 김재일 대외부총장, 백동헌 천안부총장, 고선일 치과대학장, 남재걸 대외협력처장] 1988년 치의학과를 졸업한 허 동문은 2000년 치과 임플란트 전문기업인 네오바이오텍(주)을 설립했다. 허 동문은 ‘한국 임플란트 1세대’로 회사 설립 이후 혁신적인 제품개발을 통해 임플란트 대중화에 기여 해 왔다. 허 동문은 임플란트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제품과 술식으로 치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수많은 특허와 기술을 선보여 ‘치과계 에디슨’이라는 애칭도 얻었다. △ 김재일 대외부총장은 허영구 동문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허영구 동문은 “40년 전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하며 버티던 학생 시절 동창회 장학금이 학업을 이어갈 수 있는 큰 힘이었다. 사회인이 되면 후배를 돕겠다는 학창 시절의 다짐을 꼭 지키고 싶었다”라며 “결국 나를 키운 것은 모교인 단국대이고, 앞으로도 후배와 모교를 아낌없이 돕고 싶다”라고 전했다. 김재일 대외부총장은 “허 동문님의 나눔에 대한 고귀한 생각이 강의실에서 학업하는 학생들에게 전해지길 바란다”라며 "대학 발전을 위한 정성과 후의에 감사드리며 사회에 공헌하고 봉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 허영구 동문이 재학생들과 기념촬영을 진행했다. 이날 강의실 현판식에는 김재일 대외부총장, 허영구 동문, 백동헌 천안부총장, 고선일 치과대학장, 남재걸 대외협력처장, 김종수 교수, 네오바이오텍 임직원, 치의학과 재학생들이 참석했다. #단국대 #현판식 #발전기금 #네오바이오텍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5,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박원엽

|

행사

모교에 발전기금 누적 10억 원 기부!!<br />고정용 총동창회장(경제학과 77학번)

2025.04.21

2,640

인기글

“007가방 하나 들고 전국을 누비던 40년 전 제약회사 영업사원 시절, 제게 가장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준 건 모교 단국대의 믿음과 사랑이었습니다” 24만 단국인의 자긍심을 고취 시키고 활력있는 동문 사회 만들기에 주력하고 있는 고정용 총동창회장(경제학과 77학번, ㈜아이젠파마코리아 대표)이 발전기금 누적 10억원을 쾌척했다. 지난 2023년부터 이어온 발전기금 기부액이 최근 10억 원을 달성한 것. ▲ 고정용 총동창회장(경제학과 77학번, ㈜아이젠파마코리아 대표) 고정용 총동창회장은 1985년 우리 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제약회사 영업사원으로 시작해 삼일제약, 태준제약 임원을 역임하는 등 40여년 간 제약업계에서 활약하고 있다. 2016년 난임 치료제 전문기업인 ㈜아이젠파마코리아를 설립해 연매출 300억 원에 달하는 글로벌 제약기업으로 성장시켰다. 고정용 총동창회장은 건실한 기업 경영과 함께 지난 10여 년간 꾸준히 국내외 30여 개 기관 및 단체를 통해 나눔을 실천하는 등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기업인으로도 유명하다. 고정용 총동창회장은 평생 건실한 경제인으로 활동하며 모교와 동문 사회에 대한 애정을 실천하기 위해 지난해 단국대 총동창회장으로 선임되기도 했다. “내 손의 장미를 나눠주었더니, 내 손에 장미향이 남았다” 고정용 총동창회장은 지난 2023년부터 현재까지 모교에 발전기금 10억 원을 기부하며 남다른 후배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와 여성을 돕기 위해 △캄보디아 교육환경 개선사업 「아이젠스쿨 1·2·3호 건립」 △캄보디아 저소득층 아동 및 여성 의료비 후원 △니제르 여성 청소년 학교 후원 △아프리카 토고 어린이센터 우물 시추 △에티오피아 「아이와 엄마 살리기」 등의 후원을 펼치고 있다. 꾸준한 나눔 실천의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12월에는 「대한민국 착한 기부자 상」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고정용 총동창회장(왼쪽)이 모교에 누적 발전기금 10억을 쾌척하고 안순철 총장(오른쪽)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고정용 총동창회장(오른쪽)은 꾸준히 나눔을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12월에「대한민국 착한 기부자 상」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고정용 총동창회장은 “어려운 시절, 나를 응원하고 도와주신 모교 선후배와 장충식 총장님(현 단국대 명예이사장)의 도움으로 무사히 학업을 마칠 수 있었다”라며 “회사를 창립할 때부터 지켜온 가치인 ‘사회의 행복(Society`s Happiness)’처럼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소외되고 어려운 이웃을 돕는 기업가 정신을 실천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안순철 총장은 “ 「내 손의 장미를 나눠주었더니, 내 손에 장미향이 남았다」는 한결같은 신념으로 모교와 후배사랑을 실천하고 계신 고정용 총동창회장님의 고귀한 뜻에 감사드린다”라며 “기탁해 주신 발전기금은 대학 발전과 우수 인재 양성에 소중히 사용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발전기금 전달식은 지난 17일(목) 삼정호텔에서 단국대학교 총동창회가 주관한 「2025년도 정기대의원총회」에서 열렸다. 전달식에는 안순철 총장, 박지원 국회의원(상학과 65학번), 이상배 ㈜대양엔지니어링 대표(경제학과 81학번), 김재일 대외부총장, 남재걸 대외협력처장 등이 참석했다. #단국대 #발전기금 #총동창회장 #아이젠파마코리아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5,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가지혜

|

발전기금

이상헌 교수(프리무스국제대학 바이오소재융합공학과), 대사 물질의 유전체 진단 정확도 높이는 데이터 분석 방법 제시

2025.04.21

2,369

인기글

이상헌 교수(프리무스국제대학 바이오소재융합공학과)가 하버드 보건대학원,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 브링엄 여성병원(BWH) 등과 함께 우리 몸의 다양한 대사 물질의 유전체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통계적 분석 방법을 제시했다. △이상헌 교수(오른쪽, 프리무스국제대학 바이오소재융합공학과)와 연구원들 기존의 대사체-유전체 연관 분석(Metabolome-Genome Wide Association Study)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분석 방법을 제시한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 2025년 4월 11일자 첫 논문으로 소개됐다. 논문명은 ‘On the analysis of metabolite quantitative trait loci: Impact of different data transformations and study designs(대사체-유전체 연관분석에서 정량적 형질좌위의 위양성에 미치는 대사체의 데이터 변환 방식과 유전체 연구 설계의 영향 평가)’이다. 대사체-유전체 연관 분석(MGWAS)은 유전자와 대사 지표 간의 연관성을 밝혀내는 연구로, 당뇨, 고혈압, 비만 등 대사성 질환의 질병 예측과 맞춤의료 실현을 위한 중요한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의 분석 방법은 일반적으로 정규화나 로그 변환기법을 활용했다. 그러나 분석 과정에서 대사체 데이터에 극단적인 값이 많고, 분포가 치우친 경우가 많아 의미 없는 결과가 마치 중요한 것처럼 나오는 ‘위양성(false positive)’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상헌 교수팀은 데이터를 순위로 정렬해 변환하는 ‘순위기반 정규화(rank-based normalization)’ 방법을 적용해 위양성 결과를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분석 방법을 제시했다. 이 방법을 대사체 연구에 적용하면 극단적인 값의 절대 크기가 아닌 순위에 기반하기 때문에 분석의 신뢰도와 연구 재현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질병과 연관된 대사 지표와 유전자를 보다 정확히 찾아낼 수 있게 되어 향후 대사체 기반 개인 맞춤형 의료와 헬스케어 분야에서 실질적인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교수는 “대사체 분석에서 위양성을 줄이기 위한 최적의 분석 방법을 실증적으로 제시한 것이 이번 연구의 핵심”이라며 “정교한 대사체-유전체 연관 분석이 가능해지면 기존 유전체 정보도 더욱 가치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상헌 교수는 유전체 및 다양한 오믹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암을 비롯한 난치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생체표지자(biomarker)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프리무스국제대학 #바이오소재융합공학과 #이상헌교수 #대사물질 #유전체 #Metabolome #Genome #단국대 #사이언스어드밴스 #ScienceAdvances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5,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김유인

|

학술

“현장실습 덕분에 취업 걱정없어요” <br /> 경기도 대학생 드림링크 직무실습 대학 선정

2025.04.16

2,859

인기글

취창업지원처, 현장실습 기회 확대로 ‘실무형 맞춤 인재’ 양성 박차 취창업지원처(처장 민동원)가 「2025년 경기도 대학생 드림링크 직무실습 참여대학」 사업에 선정됐다. 우리 대학은 재학생의 현장실습 기회를 확대하고 기업에 즉시 투입 가능한 ‘맞춤형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낸다. 「2025년 경기도 대학생 드림링크 직무실습 참여대학」 사업은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이 주관한다. 도내 대학 및 경기도 거주자에게는 기업의 실무 경험을 제공해 취업을 지원하고, 기업에게는 필요한 인재를 연결하는 사업이다. ▲ 취창업지원처는 「2025년 경기도 대학생 드림링크 직무실습 참여대학」 사업에 선정돼 재학생들의 현장실습 기회 확대로 맞춤형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낸다. 이번 사업에 따라 우리 대학은 산업체와 연계한 직무 중심의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참여 대학에게는 매월 15만 원의 관리 수당과 실습을 성실히 마칠 경우 참여 학생에게 50만 원의 수료 수당이 지급된다. 실습을 진행하는 기업에게도 참여 학생 1인당 매월 150만 원의 지원금이 제공된다. 박유진 동문(기계공학과 19학번, 現 한국타이어 재직)은 “지난해 여름방학 동안 중소기업에서 2개월간 현장실습을 체험하고 졸업과 동시에 취업에 성공했다”라며 “현장실습은 취업을 위한 우수한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학점도 인정받을 수 있어 후배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다”라고 밝혔다. ▲ 민동원 취창업지원처장이 지난 3월 창업지원단 캠퍼스 입주기업 행사에서 산업체 현장실습사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현장실습은 전공 직무 체험에 관심 있는 재학생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최소 4학기를 이수한 3~4학년 재학생이 참여할 수 있다. 현장실습 학점은 학생의 참여 개월 수에 따라 1개월(2학점), 2개월(4학점), 4개월(12학점), 6개월(18학점)로 인정해 준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취창업지원처에서 운영 중인 현장실습 관리지원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바로가기 현장실습 관리·지원시스템 https://internship.dankook.ac.kr/] 취창업지원처는 현장실습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실습 매칭 ▲이력서 제출▲ 현장실습 수강신청 ▲평가 및 결과보고서 제출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장 내 예절▲안전 교육 ▲성희롱 예방 등 사전교육도 함께 실시하고 있다. 실습 종료 후에는 총평회와 취업 특강 등을 운영해 실질적인 취업성과로 이어지도록 돕고 있다. 민동원 취창업지원처장은 “현장실습은 단순한 전공 직무 체험을 넘어, 학생들이 졸업 후 바로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실무형 인재로 성장하는 중요한 발판이 된다”라며 “앞으로도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 설정과 취업 연계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단국대 #취창업지원처 #현장실습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5,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가지혜

|

이슈

씨름부, 전국장사씨름대회 개인전·단체전 우승 석권

2025.04.15

2,229

인기글

소장급(80Kg)·용장급(90kg)·장사급(140kg) 개인전 우승 이어 대학부 단체전 우승!! 우리 대학 씨름부가 제3회 대한체육회장기 전국장사씨름대회에서 개인전 우승에 이어 단체전 우승을 차지해 명문 씨름부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전국장사씨름대회 대학부 단체전 우승은 1년 9개월 만의 쾌거다. 지난 14일 전남 보성군에서 열린 대회에서 씨름부는 울산대, 목원대, 대구대를 차례로 꺾고, 결승전에서는 경남대를 4:2로 제압하며 우승을 거머쥐었다. 특히 울산대와의 1회전에서는 3:0으로 앞서던 경기를 3:3까지 끌려가며 위기를 맞았지만, 장사급 김대일(스포츠과학부 2학년) 선수가 마지막 판에서 승리를 따내며 극적인 승리를 이끌었다. △단체전 우승 기념사진 △주두식 감독이 우승을 차지한 선수들에게 헹가래를 받고 있다. 개인전 성과도 눈부셨다. 소장급에서는 성민수 선수(국제스포츠전공 3학년), 용장급에서는 이제준 선수(국제스포츠전공 3학년), 장사급에서는 김대일 선수(국제스포츠전공 2학년)이 각각 1위를 기록했다. 또한 용장급에서 정택한 선수(국제스포츠전공 1학년)가 2위를 차지해 주목을 받았다. △(왼쪽부터)성민수 선수, 이제준 선수, 김대일 선수 무릎 부상으로 빠진 주전 역사급(105kg) 송영천 선수를 대신해, 두 체급 아래인 용장급(90kg)에서 매 경기 승리를 거두며 팀의 우승에 크게 기여한 정택한 선수의 활약은 ‘우승의 숨은 공신’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주두식 감독은 “체급 구성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하나 된 마음으로 경기에 임한 선수들이 자랑스럽다”며 “앞으로도 단국 씨름의 전통과 명예를 이어가겠다”는 뜻을 전했다. #단국대 #씨름부 #대한체육회장기전국장사씨름대회 #주두식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4,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윤주연

|

스포츠

동양학연구원, ‘국내 유일의 한국식 한자·이두(吏讀) 통합 디지털 사전' 공개

2025.04.15

2,372

인기글

한국 고유 한자 및 이두 약 89,000여 개·용례 86,000여 개 수록 문자학·역사학·동아시아학 등 새로운 연구 지평 열어 동양학연구원(원장 이재령)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한국 고유의 한자와 이두(吏讀)자료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디지털 사전을 선보인다. △동양학연구원이 지난 14일(월)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한국한자 종합검색시스템 오픈 기념식'을 열었다. △동양학연구원이 지난 14일(월) 공개한 ‘한국한자 종합검색시스템’ 홈페이지 화면 이번에 선보이는 시스템은 그동안 동양학연구원이 한국식 한자와 이두 관련 학술적 성과를 바탕으로 편찬한 ▲『한국한자어사전(1996)』 ▲『이두사전(2020)』 ▲『한국한자자전(2023)』을 집대성해 온라인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구성한 통합 검색 플랫폼이다. (▶디지털 사전 바로가기) 이 디지털 사전은 한·중·일 등 한자문화권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한자사전과 달리, 한국 고문헌에만 나타나는 ‘한국식 한자’와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이두(吏讀)’ 자료를 중심으로 구성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사전에는 『한국한자어사전』과 『한국한자자전』에 수록된 한국식 한자 표제어 85,000여 개와 용례 74,000여 개, 『이두사전』의 이두어휘 약 4,200여 개와 이두용례 12,000여 개를 포함하고 있어 국내 최대의 한국한자 관련 데이터를 수록하고 있다. △『한국한자자전』에서 표제자 ‘노미’를 검색하면 한자의 뜻풀이와 함께 “祔廟都監儀軌(正宗大王), 三房, 工匠(부묘도감의궤(정종대왕), 삼방, 공장)”이라는 용례의 출전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용례 이미지’를 클릭하면 고문헌 원전 이미지까지 제공된다. 특히 기존 종이 사전에서는 지면 한계상 수록하지 못했던 용례의 고문헌 원전 이미지까지 시각자료로 제공해 그 가치를 더하고 있다. 기존 한자 유니코드에 등재되지 않거나 폰트가 없는 약 2,300자의 신출 한자는 단국대가 자체 개발한 ‘DK한국한자’ 폰트를 통해 구현해 자료의 완성도를 높였다. 사용자는 부수, 음, 총획 등의 다양한 조건으로 검색이 가능하다. 특히 ▲세 사전 간 통합 검색 ▲검색어 확장 및 일치 기능 ▲구성요소별 검색(표제자, 뜻풀이, 용례)등 고도화된 검색 기술을 제공해 보다 정밀한 정보 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지속적인 증보 및 수정을 지원하는 사전 편집 시스템과 자동번역 기능을 활용한 다국어 지원 서비스로 국내외 문자학·역사학·동아시아학 연구자들에게 폭넓은 접근성과 활용성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동양학연구원은 『한국한자어사전』을 2017년부터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에 한자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두사전』은 2025년 하반기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에 오픈한 디지털 사전과 함께 고문헌을 연구하는 연구자와 일반인들이 더 손쉽게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 갈 계획이다. 이재령 동양학연구원장은 “이번에 오픈한 디지털 사전은 한국어 속 한자어의 역사적 맥락과 변천 과정을 반영하는 국내 유일이자 최대의 검색 시스템”이라며 “문자학 및 고문헌 연구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문화권의 한자 수입과 발전상에 관한 국제 연구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동양학연구원 #한국한자 #이두사전 #한국한자어사전 #한국한자자전 #디지털사전 #한국한자종합검색시스템 #단국대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5,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김유인

|

학술

“이제 천안에서도 간편하게 기부하세요”, 천안캠퍼스 발전기금 키오스크 설치

2025.04.10

3,098

인기글

죽전캠퍼스에 이어 천안캠퍼스 학생회관 4층 로비에도 누구나 손쉽게 나눔에 참여할 수 있는 발전기금 키오스크가 도입됐다. 대외협력처(처장 남재걸)는 4월 10일(목) 천안캠퍼스 학생회관 교직원식당 앞에 ‘단국사랑 발전기금 키오스크’를 설치하고 캠퍼스 내 기부 문화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백동헌 천안부총장, 이일석 학생처장, 김왕수 총무처장, 채수형 대외협력부처장, 박종식 천안 총학생회장이 참석해 설치를 기념했다. △발전기금 키오스크 설치 기념 행사 단체사진(왼쪽부터 전영광 천안 부총학생회장, 이일석 학생처장, 백동헌 부총장, 박종식 천안 총학생회장, 김왕수 총무처장, 진광민 학생팀장) 발전기금 키오스크는 누구나 쉽게 대학 발전기금에 동참할 수 있도록 마련된 무인 기부 시스템이다. 카드 결제가 가능하며, 1천 원 이상이면 금액 제한 없이 자유롭게 기부할 수 있다. 기부자를 위해 카드 수수료(3.3%)는 대학이 부담한다. △ 백동헌 천안부총장이 학생회관에 설치된 발전기금 키오스크를 통해 기부를 했다. 해당 키오스크는 단순 기부 기능뿐 아니라 ▲1천만 원 이상 고액 기부자 정보 조회 ▲대학 및 발전기금 홍보 영상 상영 ▲기부 통계 및 연차보고서 확인 등의 다양한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 박종식 총학생회장(위), 김왕수 총무처장(아래)이 발전기금 키오스크를 통해 기부를 하고 있다 대외협력처는 기부 문화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발전기금 연차보고서’도 함께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월별 주요 모금 현황 ▲기부금 집행 내역 ▲기부자 명단 등이 수록되었으며, 대외협력처 홈페이지와 키오스크에서 열람 가능하다. 백동헌 천안부총장은 “이번 키오스크 설치를 통해 하루 천 원 기부 캠페인을 실천해 보길 바란다”며 “이를 통해 일상 속 기부에 참여하며 기부의 가치와 의미가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종식 총학생회장(경영공학과 4년)은 “학생들도 소액이나마 기부를 시작하면서 기부에 대한 접근성을 늘릴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며 “학교사랑을 간편하게 실천할 수 있어서 좋다”고 했다. 죽전캠퍼스에는 작년 9월 스터디 라운지 ‘베어토피아’에 발전기금 키오스크가 설치돼 학교를 찾아오는 동문 등 다양한 구성원들이 일상 속에서 손쉽게 기부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번 천안캠퍼스 설치를 통해 양 캠퍼스를 아우르는 기부 플랫폼이 구축되었다. 대외협력처는 기부 문화 확산을 위해 ▶월 만원의 단국사랑 ▶후원의 집 ▶캠퍼스 벤치 네이밍 등 다양한 모금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캠퍼스 벤치 네이밍」은 재학생 휴식 공간과 기부 문화 확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며 국내 대학의 모범 사례로 기록되기도 했다. #단국대 #대외협력처 #발전기금 #키오스크 #학생회관 #연차보고서 [대학뉴스 제보] 죽전 홍보팀 : 031-8005-2032~5, 천안 홍보팀 : 041-550-1061

윤주연

|

발전기금

홈페이지에 대한 개선/건의사항이 있으면 아래에 남겨주세요. 해당 페이지의 관리자에게 전달됩니다.
- 공지사항 등 게시판의 게시 내용에 대한 문의는 해당 게시물에 표기된 연락처나 담당부서(VOC)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닫기
댓글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