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洋學學術會議 연보
회수 | 개최일자 | 주제 | 발표자 | 비고 |
---|---|---|---|---|
1회 | 1970. 10. 12. | 4명 | ||
2회 | 1971. 10. 26 ~ 27. | 한국문화의 형성 | 4명 | 국제 |
3회 | 1973. 10. 27 ~ 28. | 한국고대문화의 특성 | 6명 | |
4회 | 1974. 10. 26 ~ 27.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高麗期(I) | 6명 | 국제 |
5회 | 1975. 10. 11 ~ 12.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高麗期(II) | 6명 | |
6회 | 1976. 10. 16 ~ 17.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高麗期(III) | 6명 | |
7회 | 1977. 10. 15 ~ 16.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I) | 6명 | 국제 |
8회 | 1978. 10. 15 ~ 16.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II) | 6명 | |
9회 | 1979. 10. 13 ~ 14.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III) | 6명 | |
10회 | 1980. 10. 11 ~ 12.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IV) | 6명 | |
11회 | 1981. 10. 17 ~ 18.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V):藝術部分(1) 美術 | 6명 | |
12회 | 1982. 10. 23 ~ 24.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VI):藝術部分(2) 音樂·演劇 | 6명 | |
13회 | 1983. 10. 15 ~ 16.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VII): 外交·國防部門 | 6명 | |
14회 | 1984. 10. 13 ~ 14 | 한국중세문화의 특성 - 朝鮮王朝前期(VIII): 16世紀末 倭亂期에 關한 綜合硏究 | 6명 | 국제 |
15회 | 1985. 10. 12 ~ 13.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I): 韓·中·日 實學의 特性 | 6명 | 국제 |
16회 | 1986. 10. 12 ~ 13.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II):實學部門(2) | 6명 | |
17회 | 1987. 10. 17 ~ 18.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III) | 6명 | |
18회 | 1988. 10. 15 ~ 16.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IV) | 6명 | |
19회 | 1989. 10. 14 ~ 15.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V) | 6명 | |
20회 | 1990. 10. 19 ~ 20.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VI) | 6명 | |
21회 | 1991. 10. 26 ~ 27.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VII): 近代國語의 特徵과 硏究史 檢討 | 6명 | |
22회 | 1992. 10. 16 ~ 17.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VIII): 文學部門 | 6명 | |
23회 | 1993. 10. 21 ~ 22.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IX): 哲學·思想部門 | 6명 | |
24회 | 1994. 10. 15.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X):藝術部門(1) | 5명 | |
25회 | 1995. 10. 14.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XI): 藝術部門(2) | 5명 | |
26회 | 1996. 10. 26.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朝鮮王朝後期(XII): 軍事·外交部門 | 5명 | |
27회 | 1997. 10. 18. | 韓國近世文化의 特性-開港期(I): 韓國近代史의 歷史的 性格 | 5명 | |
28회 | 연구실 해체 - 미개최 | |||
29회 | 1999. 10. 30. | 開港期의 改革과 近代化 | 5명 | |
30회 | 2000. 10. 28. | 동아시아의 문호개방과 근대화 | 5명 | |
31회 | 2001. 10. 20. | 改化期의 語文學 | 5명 | |
32회 | 2002. 10. 19. | 개화기의 전통문화와 에술 | 5명 | |
33회 | 2003. 10. 18. | 개화기 신구사상의 대립과 교체 | 5명 | |
34회 | 2004. 10. 16. | 改化期 經濟 社會의 變動 | 5명 | |
35회 | 2005. 10. 22. | 日帝 强占期의 政治 | 5명 | |
36회 | 2006. 10. 21. | 日帝 强占期의 經濟와 社會 | 5명 | |
37회 | 2007. 10. 25. | - 개교 6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 - 동아시아 삼국의 역사인식과 영토문제 | 5명 | 국제 |
38회 | 2008. 12. 05. | 일제강점기의 문학과 예술 | 4명 | |
39회 | 2009. 11. 20.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 4명 | |
40회 | 2010. 10. 29. | 동아시아 문명 기원과 교류 | 7명 | 국제 |
41회 | 2011. 11. 11. | 동아시아 청동기문화의 교류와 국가형성 | 7명 | 국제 |
42회 | 2012. 11. 09. | 동아시아의 철기문화와 고조선 | 8명 | 국제 |
연구과제 학술회의
회수 | 일자 | 주제 | 장소 | 비고 |
---|---|---|---|---|
1차 | 2002. 08. 23 ~ 24. | 개화기 한국과 세계의 상호 이해 | 서관905 | 중점 |
2차 | 2003. 07. 25 ~ 26 | 개화기 한국과 세계의 상호교류 | 서관905 | 중점 |
3차 | 2004. 08. 20 ~ 21. | 개화기 대외 민간문화 교류의 의미와 영향 | 서관905 | 중점 |
4차 | 2005. 08. 23 ~ 24. | 개화기 대외 민간문화 교류: 평가와 제안 | 서관905 | 중점 |
5차 | 2006. 08. 25 ~ 26.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I | 서관905 | 중점 |
6차 | 2007. 07. 27 ~ 28.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II | 서관905 | 중점 |
7차 | 2008. 07. 21 ~ 22. |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 -그 의의와 전망 - | 박물관 세미나실 | 중점 |
8차 | 2008. 08. 21.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일상생활과 근대매체 | 박물관 세미나실 | 중점 |
9차 | 2008. 08. 28. | 학술세미나: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III | 박물관 세미나실 | 중점 |
10차 | 2009. 08. 27 ~ 28.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IV | 박물관 세미나실 | 중점 |
11차 | 2010. 03. 19. | 동아시아 삼국의 상호인식과 그 전환의 단초 | 법학관 319호 | 토대기초 |
12차 | 2010. 08. 17 ~ 18.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V | 박물관 세미나실 | 중점 |
13차 | 2011. 03. 19. | 동아시아 삼국의 상호교류와 소통의 양면성 | 대학원동 318호 | 토대기초 |
14차 | 2011. 07. 07 ~ 08.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VI | 대학원동 318호 | 중점 |
15차 | 2012. 03. 17. | 동아시아 삼국, 새로운 미래의 가능성 | 대학원동 318호 | 토대기초 |
16차 | 2012. 07. 18. |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산국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Ⅶ: 일생의례의 지속과 변용 | 대학원동 318호 | 중점 |
학술 심포지움
회수 | 일자 | 주제 | 발표자 | 장소 | 비고 |
---|---|---|---|---|---|
1회 | 2007. 02. 09. | 동북공정 이후, 우리 학계의 과제 | 4명 | 서관905 | |
2회 | 2008. 02. 22. | 한국상고문화기원 연구 방향의 모색 | 5명 | 박물관 | |
3회 | 2008. 12. 17. | 東亞細亞 辭典의 歷史와 未來 (제1회) | 6명 | 인문관201호 | |
4회 | 2009. 02. 23. | 한국상고문화기원 연구방법론의 탐색 | 4명 | 박물관 | |
5회 | 2010. 02. 05. | 연민문고 고서의 종합적 검토 | 4명 | 박물관 | |
6회 | 2011. 02. 18. | 동아시아 한자 사전의 현황과 과제(제2회) | 4명 | 박물관 | |
7회 | 2011. 09. 22. | 韓中 朱子學의 傳承과 創新 | 9명 | 도서관 세미나실 |
사전학 학술회의
회수 | 일자 | 주제 | 발표자 | 장소 | 비고 |
---|---|---|---|---|---|
1회 | 2008. 12. 17. | 東亞細亞 辭典의 歷史와 未來 | 6명 | 인문관201호 | |
2회 | 2011. 02. 18. | 동아시아 한자 사전의 현황과 과제 | 4명 | 박물관 | |
3회 | 2012. 02. 10 | 동아시아 고유한자의 국제표준화와 사전편찬 | 7명 | 박물관 | |
4회 | 2013. 02. 01 | 동아시아 한자사전의 웹정보화 현황과 미래 | 7명 | 박물관 | |
5회 | 2014. 02. 07 | 한국학 사전 편찬의 회고와 전망 | 5명 | 박물관 | |
6회 | 2014. 10. 17 | 한자사전 편찬 방법론 연구 | 6명 | 국제관102호 |
번역학 학술회의
회수 | 일자 | 주제 | 발표자 | 장소 | 비고 |
---|---|---|---|---|---|
1회 | 2012.2.11 | 한국문집의 번역과 "월정집" | 6명 | 도서관 세미나실 | |
2회 | 2013.2.2. | 용주(龍洲 ) 조경(趙絅)의 문학과 사상 | 5명 | 도서관 세미나실 | |
3회 | 2013.12.20. | 象村家의 時代認識과 文學世界 | 6명 | 도서관 세미나실 | |
4회 | 2014.11.29. | 한시 번역과 연구, 그리고 대중화 | 5명 | 도서관 세미나실 |
역사문화연구소학술대회
회수 | 일자 | 주제 | 발표자 | 장소 | 비고 |
---|---|---|---|---|---|
1회 | 2014.01.24. | 천안의 역사문화자원 현황과 활용방안 -고대문화유적을 중심으로- | 3 | 천안캠퍼스 율곡기념도서관 2층 다목적실 | |
2회 | 2014.12.19 | "천안의 초기 백제유적과 정치체" | 4 | 천안캠퍼스 산학협력관112 |
기 타(비정기적인 학술회의)
일자 | 주제 | 발표자 | 장소 | 비고 |
---|---|---|---|---|
2011.6.21. ~22. | 신흥무관학교 설립 100주년 기념 한중공동 항일투쟁 국제학술대회 | 한시준외 8명 | 9.18역사박물관 | 중국 심양 |
2012.10.12. | 北京에서의 韓國獨立運動과 李會榮 (한중수교20주년 및 우당선생 순국8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 | 최기영 외 5명 | 北京大學二院 | 중국 베이징 |
2012.10.31. | 梵亭 張炯의 독립운동과 단국대학설립 | 한시준외 4명 | 서관 B104 | 개교65주년기념 |
2013. 11.15. | 제국주의와 아시아 | 도서관 세미나실 | 원아시아재단 지원 | |
2014.4.13.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제95주년기념 학술회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카이로선언 | 한시준 외 4명 | 백범 김구 기념관 | 독립기념관· 광복회 공동 |
정기연구발표회(월례발표회) 및 해외 학자 초청 강연회
회차 | 날짜 | 발표자 | 주제 |
---|---|---|---|
1 | 1972.6.13. | 이장우 | 사기 태사공 자서 |
2 | 1972.7.12. | 박천규 | 진서 부여열전 |
3 | 1972.8.16. | 이휘교 | 송서 사령운전론 |
4 | 1972.9.12. | 김광수 | 사기 조선열전 |
5 | 1972.10.11. | 송항룡 | 송서 도연명전 |
6 | 1972.11.14. | 이장우 | 한서 사마천열전찬 |
7 | 1972.12.13. | 박천규 | 북사 신라열전 |
8 | 1973.2.20. | 김광수 | 양서 신라전 |
9 | 1973.3.21. | 송항룡 | 사기 노자전 |
10 | 1973.4.25. | 이장우 | 진신당서전 |
11 | 1973.5.17. | 박천규 | 북사 우문술전 |
12 | 1973.6.19. | 이휘교 | 구당서 두보전 |
13 | 1973.8.28. | 김광수 | 삼국지 위지 한전 |
14 | 1973.9.21. | 송항룡 | 사기 장자전 |
15 | 1973.10.12. | 이장우 | 진서 진수전 |
16 | 1973.11.23. | 박천규 | 북사 백제전 |
17 | 1973.12.21. | 이휘교 | 위지 왕찬전 |
18 | 1974.1.25. | 김광수 | 금사 고려전 |
19 | 1974.2.22. | 송항룡 | 사기 공자세가 |
20 | 1974.3.26. | 이장우 | 오지 손견, 손책전 |
21 | 1974.4.23. | 박천규 | 북사 백제전(續) |
22 | 1974.6.25. | 이휘교 | 구당서 이백전 |
23 | 1974.7.27. | 김광수 | 원사 기황후전 |
24 | 1974.8.27. | 송항룡 | 송사 주돈이전 |
25 | 1974.9.26. | 신승하 | 명사 조선전 |
26 | 기록 없음 | ||
27 | 1974.11.28. | 이장우 | 신당서 맹교전 |
28 | 1974.12.17. | 박천규 | 진서 동이,진한 |
29 | 1974.12.17. | 이휘교 | 신당서 문예전(중) |
30 | 1975.1.31. | 김광수 | 원사 탐라전 |
31 | 1975.2.25. | 송항룡 | 송사 도학전 |
32 | 1975.3.27. | 이휘교 | 구당서 송지문전 |
33 | 1975.4.23. | 이장우 | 사기 백이열전 |
34 | 1975.6.24. | 김광수 | 북사 권94, 열전82 |
35 | 1975.9.29. | 송항룡 | 송사 권 427, 도학전一 장재 |
36 | 1975.10.28. | 장석권 | 조선왕조형벌법의 특징 |
37 | 1975.11.28. | 김광수 | 25사 발췌자료범례 설명 |
38 | 1975.12.23. | 신승하 | 송사 고려전 |
39 | 1976.1.28. | 박천규 | 사기 권124, 어협열전 제64 |
40 | 1976.2.24. | 이휘교 | 한서 권54, 이광,소건전 제24(이릉전) |
41 | 1976.4.24. | 송병기 | 하여장의 주지외교의에 관하여 |
42 | 1976.5.21. | 이호영 | 승신미 사호 시비 |
43 | 1976.7.23. | 송항룡 | 노장에서의 언어문제 |
44 | 1976.9.23. | 장석권 | 조선왕조 형벌법의 특징 |
45 | 1976.10.25. | 이호영 | 괘안 이수온의 일연구 |
46 | 1976.11.17. | 장석권 | 兪吉濬의 법사상 |
47 | 1977.3.28. | 송병기 | 대한제국의 성립에 관하여 |
48 | 1977.4.25. | 박천규 | 사대부에 관하여 |
49 | 1977.5.20. | 井上秀雄 | 일본에 있어서 한국학 연구 근황 |
50 | 1977.6.27. | 송항룡 | 동양인의 신관 |
51 | 1978.5.20. | 이호영 | 성읍국가설에 관하여 |
52 | 1978.6.22. | 김상현 | 삼국유사를 통해본 일연의 불교사 인식 |
53 | 1978.8.31. | 김상홍 | 다산의 사회시에 관한 연구 |
54 | 1979.10.10. | 황패강 | 내가 본 일본과 그 문화 |
55 | 기록 없음 | ||
56 | 1981.4.6. | 김원모 | 견미사절 홍영식복명문답기 |
57 | 1981.4.30. | 김상현 | 만파식적설화의 구조적 분석 |
58 | 1981.5.28. | 서영수 | 광개토대왕비문의 「朝貢」기사에 대하여 |
59 | 1981.6.25. | 강재철 | 삼국유사의 漢讚에 대하여 |
60 | 1981.7.15. | 윤내현 | 중국원시시대연구의 문제점 |
61 | 1981.9.9. | 이호영 | 신라삼국통일에 관한 재검토 |
62 | 1981.10.28. | 김상홍 | 다산시의 이미지에 대하여 |
63 | 1981.11.24. | 이강로 | 문법적 모호성과 그 사전처리의 문제점 |
64 | 1981.12.15. | 권영대 | 서보의 한시와 그 특징 |
65 | 1982.1.29. | 이호영 | 의려제련화설 |
66 | 1982.3.23. | 이충구 | 한국한자에 대한 문자학적 고찰 |
67 | 1982.4.26. | 이강로 | 차자어의 사전적 처리에 대하여 |
68 | 1982.11.29. | 김영만 | 한한사전에서의 한자음 |
69 | 1982.12.6. | 강재철 | 구미에 있어서의 한문학연구의 동향 |
70 | 1983.1.25. | 김원모 | 장인환 저격사건의 역사적 의의 |
71 | 1983.5.23. | 이강로 | 어휘의 고증과정에 대하여 |
72 | 1983.6.27. | 김원모 | 로즈함대의 내침과 양헌수의 항전 |
73 | 1983.11.30. | 김영수 | 여류문학연구의 몇 가지 검토 |
74 | 1983.12.7. | 윤내현 | 고조선의 재인식 |
75 | 1984.4.26. | 한시준 | 조소앙 연구: 독립운동을 중심으로 |
76 | 1984.9.14. | 이강로 | 동형어휘의 처리요령 |
77 | 1984.11.16. | 홍순석 | 한자어 주석상의 관련어 처리에 대하여 |
78 | 1984.12.11. | 김동길 |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1) |
79 | 1985.1.30. | 이호영 | 거칠부전 검토 |
80 | 1985.2.19. | 김동길 |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2) |
81 | 1985.2.22. | 김원모 | 원세개의 한글본 시사지무십관 |
82 | 1985.4.12. | 김동길 | 한한대사전에서의 자전적 분리에 대한 소고(3) |
83 | 1985.4.18. | 김윤우 | 한국 고지명에 대한 소고 |
84 | 1985.5.17. | 김동길 | 사전주석에 대한 제문제 |
85 | 1985.6.28. | 유덕상 | 원시불교에 있어서 無我의 개념 |
86 | 1986.5.9. | 서지원 | 한한대사전의 컴퓨터편찬조판에 대하여 |
87 | 1986.6.17. | 김동길 | 한한대사전편찬지침(시안)에 관한 연구(1) |
88 | 1986.7.8. | 김동길 | 한한대사전편찬지침(시안)에 관한 연구(2) |
89 | 1986.9.9. | 서지원 | 한한대사전의 편찬과 컴퓨터인쇄 |
90 | 1987.3.19. | 서지원 | 사전편찬과 컴퓨터인쇄(2) |
91 | 1987.6.10. | 유덕상 | 불교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연기론적 사고 |
92 | 1987.9.16. | 한시준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선전활동 |
93 | 1987.11.10. | 김영수 | 려말선초의 문학론 소고 |
94 | 1987.12.4. | 정용욱 | 3·1운동의 지역별 전개양태 및 그 특징 |
95 | 1987.12.21. | 정석용 | 김종직의 한시 고찰 |
96 | 1988.5.20. | 서지원 | 사전출판에 있어 컴퓨터이용의 국내외 동향 |
97 | 1988.7.8. | 강영순 | 유몽연의 문학연구 |
98 | 1988.8.12. | 정용욱 | 식민지시대 민족주의 좌파의 범위와 그 논리 |
99 | 1988.8.19. | 정석용 | 『遊頭流錄』소고 |
100 | 1988.9.23. | 김영수 | 조선전기시가논의 소고 |
101 | 1989.2.24. | 유덕상 | 민중불교의 개념고찰 |
102 | 1989.4.18. | 김윤우 | 신라말의 구사성과 진례성고 |
103 | 1989.6.13. | 김세봉 | 조선전기 사화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
104 | 1989.8.30. | 정용욱 | 북한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인식의 특징 |
105 | 1989.9.27. | 정석용 | 김종직의 기행문학고: 유두류록을 중심으로 |
106 | 1989.11.22. | 유덕상 | 미륵사상의 현대적 고찰 |
107 | 1990.3.26. | 이강로 | 사전적 처리에서 본 중국음과 한국음 |
108 | 1990.4.30. | 변종현 | 고죽 최경창 한시의 당풍적 성격 |
109 | 1990.5.28. | 김상현 | 삼국유사의 역사방법론적 고찰 |
110 | 1990.6.18. | 이호영 | 신라 · 고구려의 재정관서 |
111 | 1990.9.28. | 강영순 | 금계필담의 유형분류와 구전소설의 관련양상 |
112 | 1999.3.29. | 김병기 | 대동칠십일갑사에 대하여 |
이은상 | 중국문학사 서술을 위한 일반원칙 | ||
113 | 1999.6.28. | 김현수 | 구미인의 생사관에 대한 일고찰 |
김호연 | 부민관 연구를 위한 시론 | ||
114 | 1999.9.28. | 윤승준 | 한·중 우언의 비교연구(1) |
신재의 | 조선에 치과의학의 도입 | ||
115 | 1999.12.28. | 홍성남 | 이우준의 <몽유연행록>에 대하여 |
116 | 2000.6.12. | 김태석 | 모리스 꾸랑의 생애와 저술 |
117 | 2001.6.20. | 오인영 | 서양의 여행기와 신문에 나타난 한국과 오리엔탈리즘 |
118 | 2002.7.2. | 박원길 | 몽골의 행정체제 변천사 |
이은상 | 순욱의 목천자전 인식 | ||
119 | 2003.1.27. | 김기선 | 대마도 지명에 나타나는 몽골 지명 요소에 관한 고찰 |
김호연 | 한국 근대 악극에 관한 일고찰 | ||
120 | 2003.10.2. | 박승범 | 해적의 나라 |
121 | 2004.7.29. | 신선희 | Demosthenes와 아테나이의 대외정책 |
이현우 | 오유란전에 대하여 | ||
122 | 2004.12.9. | 권동순 | 天草版平家物語의 시간표현 |
박상진 | 제1차 검인정시대 학교문법서의 품사론 | ||
123 | 2005.5.18. | 이재령 | 중국 향촌 교육공동체의 사상적 모색 |
송재용 | 구한말 순국열사 주영공사서리 이한응 | ||
124 | 2005.7.11. | 장두식 | 강경애 소설 연구 |
박상진 | 영화광고 언어 연구 | ||
125 | 2005.11.28. | 권동순 | 중세말 일본어 시간표현 |
이현우 | 화랑세기 소재 향가 1수의 대비적 고찰 | ||
126 | 2005.11.28. | 송재용 | 송덕봉론 |
장두식 | 연애소설의 공식성 연구 | ||
127 (125) | 2006.12.15. | 윤성주 | 미국에서의 최근 동아시아 연구동향 |
조춘리 | 신좌파와 자유파의 세기논쟁 | ||
126 | 2007.6.22. | 김난주 | 일본 중세극의 그로테스크성 고찰 |
이현우 | 민요에 나타난 採詩觀 연구 | ||
127 | 2007.12.6. | 김문식 | 연민문고 필사본의 가치 |
Eugene Y. Park | 한국 근현대 족보담론과 전문직 중인층의 동향 | ||
128 | 2008.6.20. | Li Feng | Managing the World through Writing |
김정렬 | 빈공수 명문과 그 역사적 의의 | ||
129 | 2008.12.9. | 표광종 | 문화콘텐츠 산업 현황과 전망 |
김재훈 | 디지털 문명과 융합의 경쟁력 | ||
130 | 2009.2.16. | 장두식 | 홍사용의 「저승길」 연구 |
유용태 | 한국 근대 문학정전의 미적 범주 연구 | ||
131 | 2009.6.23. | E.Shaugh nessy | 중국 고대 점복과 시의 상관성 (Arousing Images: The Poetry of Divination and the Divination of Poetry) |
132 | 2009.9.21. | 魏存成 | 중국 소재 고구려 ․ 발해 유적의 이해 |
133 | 2010.5.28. | 부유섭 | 燕行錄을 통해 본 康雍年間 中國書籍 유입에 대하여 |
134 | 2010.6.28. | 김재관 | 이광수의 근대교육의식 연구 - 문명·문화담론을 중심으로 |
서종원 | 「願堂重修記」를 통해 본 위도띠뱃굿의 위상과 역할 | ||
135 | 2010.8.26. | 함영대 | 조선 후기 韓日양국의 학술교류와 童子問 |
박영미 | 韓日지식인의 日光에 대한 시선과 그 양면성 | ||
엄태웅 | 영웅소설 속의 중국, 그리고 조선 | ||
안창수 | 韓日 초기 소설사 서술양상 고찰 | ||
서한석 | <泛槎圖>와 김석준 ―그림에 깃든 문화교류의 단면 | ||
136 | 2010.10.23. | 권동순 | 17세기 일본인의 조선인식 - 杉村妥女의 <上京之時每日記>에 대하여 |
맹영일 | 조선 중기 화론의 전개양상 - 간이 최립의 미학사상을 중심으로 | ||
이종필 | ‘행복한 결말'을 통해 본 17세기 소설사의 변환 양상 | ||
137 | 2010.11.18. | 강인규 | 중국최초의 미국유학생 용굉의 일생 |
138 | 2010.11.26. | 김정숙 | 조선시대 문헌 속 琉球 체험과 문학적 형상화 |
손유경 | 17세기 초 明使 接伴 양상에 관한 고찰 | ||
배종석 | 梅泉 黃玹의 「李忠武公龜船歌」 고찰 | ||
139 | 2010.12.15. | 김홍겸 | 老殘遊記와 중국소설의 Storytelling |
이호석 | 宗密의 原人論의 시각에서 본 僧肇의 「涅槃無名論」 | ||
140 | 2011.1.27. | 김영옥 | 조선조 한자 자형의 전승 양상 |
부유섭 | 연행록을 통해 본 건륭 연간 중국 서적 유입에 대한 연구 | ||
141 | 2011.5.31. | 김홍겸 | 韓中日의 여우 이미지 비교연구 |
김난주 | 女狂言考-중세 사회와 여성 | ||
이호석 | 明鏡과 破鏡을 통한 頓漸論爭의 재해석 | ||
142 | 2011.7.20. | 함영대 | 여유량의 사서강의 수용과 조선후기 학술의 성격 |
박영미 | 韓客唱酬錄의 해제 | ||
김호연 | 한국 대중공연예술의 새로운 인식을 위한 시고 -일제강점기 소녀가극을 중심으로- | ||
143 | 2011.8.17. | 이종필 | 내재적 발전론을 통해 본 고소설 연구의 흐름과 향방 |
엄태웅 | 조선후기 설인귀 수용의 맥락 | ||
144 | 2011.9.27. | 김재관 | 李光洙 初期 論說에 나타난 文明化論 硏究 ―敎育論을 중심으로― |
김홍겸 | 西遊記 속 손오공의 사회화 과정 | ||
이호석 | 中論 「觀涅槃品第二十五」에서 涅槃의 의미 ―靑目(Pingala)과 月稱(Candrakīrti)의 註釋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 ||
145 | 2011.10.7. | 劉釗 | 찬란한 유년기 ―고고학 발견과 중국 고대문명의 새로운 평가― |
146 | 2011.12.20. | 서한석 | 김석준의 범사도첩 연구 |
김정숙 | 조선인이 본 일본의 기생과 性文化 | ||
권동순 | 일본인의 조선기행문 2 | ||
이영수 | 장화홍련전 설화의 구비전승 양상에 관한 연구 | ||
김홍겸 | 중국창세신화 연구 - 혼돈과 개벽을 중심으로 | ||
이호석 | 僧肇의 緣起觀 ―肇論을 중심으로― | ||
147 | 2012.1.16. | 김철웅 |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 대한 재검토 |
이권희 | 메이지(明治) 전기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 | ||
148 | 2012.5.18. | 이호석 | 肇論에 나타난 佛의 속성 ―佛敎는 汎神論인가 理神論인가?― |
조동영 | 퇴계기념중앙도서관 소장 고문서 정리의 학술적 가치 ―敎旨를 중심으로― | ||
이권희 | 메이지 唱歌 교육에 관한 小考 | ||
김홍겸 | 한중 고대신화 속 닭과 알의 이미지 | ||
149 | 2012.6.18. | 김재관 |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지배정책과 「五道踏破旅行」의 상관성 연구 |
서종원 | 일제강점기 완구에 대한 고찰 | ||
유용태 | 한국 근대문학 정전의 구조 연구 | ||
150 | 2012.10.4. | Lothar von Falkenhausen | 공자시대 중국 청동기 - 西周 後期 儀禮 改革 |
151 | 2014.2.5. | 김태국 |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문화정체성 |
해외 학자 초청 발표 및 강연
일자 | 주제 | 발표자 | 장소 | 비고 (정기연구발표회 회차) |
---|---|---|---|---|
1977.5.20. | 일본에 있어서 한국학 연구 근황 | 井上秀雄 | 49회 | |
2006.12.15. | 미국에서의 최근 동아시아 연구동향 | 윤성주 (Carleton College) | 박물관 | 125회 |
신좌파와 자유파의 세기 논쟁 | 趙春利 (상해대학) | |||
2007.12.06. | 한국근현대 족보담론과 전문직 중산층의 동향 | Eugene.Y.Park (UC.Irvine) | 박물관 | 127회 |
2008.06.20. | 청동기 금문과 중국고대사를 통한 세계 관리 | Li Feng (컬럼비아대) | 박물관 | 128회 |
2009.0623. | 중국 고대 점복과 시의 상관성 (Arousing Images: The Poetry of Divination and the Divination of Poetry) | Edward Shaughnessy (시카고대) | 박물관 | 131회 |
2009.09.21. | 중국 소재 고구려 발해 유적의 이해 | 魏存成 (길림대) | 박물관 | 132회 |
2010.11.18. | 중국최초의 미국유학생 용굉의 일생 | 강인규 (대만 중원대) | 사범관 208호 | 137회 |
2011.10.7. | 찬란한 유년기 ―고고학 발견과 중국 고대문명의 새로운 평가― | 劉釗 (중국 復旦大) | 도서관 세미나실 | 145회 |
2012.10.4. | 공자시대 중국 청동기 - 西周 後期 儀禮 改革 | Lothar von Falkenhausen (UCLA) | 서관 B103호 | 150회 |
2014.2.5. |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문화정체성 | 김태국 (중국 연변대) | 도서관 세미나실 | 151회 |